057 도시재생사업만 하면 원주민 떠난다 : 젠트리피케이션

2020. 11. 2. 17:44기사 스크랩

728x90

도시재생사업만 하면 임대료만 늘어나 원주민이 떠나버리는 사례가 한두 군데가 아니다. 겉잡을 수 없이 불어난 임대료에 상가마저 나가버린 곳 중 삼청동이 대표적이다.

 

출처 연합뉴스 <늘어난 상가 '임대문의' 현수막…서울 상가 권리금 10% '뚝'>

 


한옥마을 근처라고 온 상가가 불티나게 장사할 수 있었던 이전과 달리 지금은 '임대 문의' 종이가 붙은 빈 공간이 여럿 보인다. 관광객이 늘어나면 원주민은 떠나는 상황을 어떻게 방지할 수 있을까..

 

국제신문 기사 출처
<흰여울마을의 역설…주민 떠나고, 카페만 남았다>

 

해당 기사에서 문제점으로 꼽은 외지인 부동산 투기. 이 이슈가 아마 발단을 일으켰을 것이다. 그런데 사업 자체에는 문제가 없을까.

 

출처 신아일보 <'도시재생예비사업' 첫 공모…주민역량 강화 프로그램 통합>
출처 파이낸셜 뉴스 <김현미 국토부 장관 "도시재생 사업 연내 성과 낼 것">

 


작년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도시재생사업이 "정부가 일방적으로 개발을 주도하는 것을 넘어, 도시재생의 전 과정을 지역주민과 지자체가 주도하도록 지원하는 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” 라고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.

 

출처 부산일보 <흰여울마을 키운 상인들 ‘불법 딱지’에 주저앉다>
출처 조선일보 <“이 조그만 마을에 새로 생긴 카페만 20개입니다”>

 


그러나 올해 윤영아 흰여울마을공동체 사무장은 “예전에는 마을에서 아이들이 인라인스케이트를 타거나 뛰어놀 수 있었는데 지금은 관광객들로 그럴 공간이 사라졌다.” 고 밝혔다. “도시재생이 되면 약국이나 과일가게 등 정주여건 시설도 함께 나아질 줄 알았지만 결국 카페만 남은 ‘뻔한’ 관광지가 되고 말았다” 고도 말하며 국토부 장관의 발언은 그저 사업 추진을 위한 달콤한 말이었던 걸 알 수 있다.


게다가 지난 9월 흰여울문화마을에 최근 카페 등만 난립해 '문화마을'이라는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부산에서 마을 내 예술인 현황 등 실태조사에 나섰다고 한다.

부동산 투기 이전에 정부가 어떤 식으로 사업을 진행했는지부터 복기하는 게 우선일 듯 싶다.

반응형